본문 바로가기

법인 대표 급여 설정 방법 (2025년 최신 세무 기준)

it`s 2025. 5. 4.

 

대표이사 급여, 그냥 받으면 손해입니다

1인 법인 또는 소규모 법인의 대표님이라면,
‘급여를 어떻게 설정하느냐’에 따라 세금 차이가 수백만 원 이상 벌어질 수 있습니다.

👉 급여는 대표이사의 소득이지만, 동시에 법인의 비용 처리 수단이기도 합니다.
따라서 절세를 위해 반드시 전략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.

 

1

1. 법인 대표 급여는 왜 중요한가?

 

항목 이유
세금 이슈 대표 급여는 법인세를 줄이는 비용으로 처리 가능
4대 보험 문제 급여가 없으면 대표 4대 보험 가입도 어려움
신용/대출 급여 명세는 개인 신용도와 대출에 직접적 영향

💡 급여가 없으면 국민연금도 납입 불가 = 추후 연금 수령액에도 영향 있음!

 

2 급여 설정 방법 (실전 기준)

 1) 얼마를 받는 게 적당한가?

  • 월 250~400만 원 수준이 가장 일반적
  • 세무 기준상 “지나치게 적거나 많으면 문제” 발생
  • 동일 업종 내 평균 임금 수준을 참고 (국세청 기준)

예: 마케팅 1인 법인의 경우, 월 300만 원 전후가 적정선

 

2) 어떻게 세무처리 해야 하나?

  • 급여 지급일에 맞춰 계좌이체 + 급여 명세서 작성 필수
  • 급여대장/근로계약서 작성 → 추후 세무조사 시 필요
  • 매월 원천세 신고4대 보험 납부도 잊지 말 것

서류이름 제출처 주기
원천징수 신고서 홈택스 매월
근로소득 지급명세서 홈택스 반기 or 연간
4대 보험 신고 4대 보험 통합 신고센터 매월
 

3. 절세 전략 – 급여 vs 배당


구분 특징 장단점
급여 매월 일정하게 지출 + 세금공제 가능 법인세 절감 가능, 4대 보험 부담
배당 연 1회 이상 지급 가능 개인소득세 부담 큼 (15.4%)

✅ 전략 조합 추천:
급여 300만 원 + 연 1회 배당금 소액” → 세금 최적화 + 연금 납입 + 법인 비용 인정

 

1

결론: 대표 급여는 ‘절세 도구’입니다

1인 법인이라 해도, 대표 급여는 꼭 공식적으로 지급하고 기록해야 합니다.
이는 단순 수입이 아니라, 회계상 전략적 수단입니다.

 

 

 

댓글